본문 바로가기

지구에 무슨일이?7

멀지않은 미래에는 친환경 항공기가 온다! 여러분 비행기에서 나오는 탄소는 얼마나 될까요?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 운항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연간 탄소 배출량의 2% 정도 된다고 합니다. 무려 2%나 차지하는 항공기가 친환경 연료를 이용한 탄소중립 비행기가 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그럼 어떻게 친환경 항공기가 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봅시다. 비행기에 사용하는 연료를 항공유라고 합니다. 항공유에는 기관에 따라 항공기 가솔린과 제트 연료(케로신)를 사용합니다. 이 중 케로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유? 석유(Petroleum)는 유정에서 천연적으로 산출된 탄화수소의 혼합물로서 가연성 물질이며, 통상 정제하지 하지 않은 석유를 원유(Crude oil)라고 부른다. 원유로부터 분별 증류하여 끓는점의 범위가 180~250℃인 석유를 등유라고.. 2023. 2. 1.
음식물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집에 사놨다가 못 먹고 썩힌 음식, 이것저것 먹고싶어 다 사놓고 식탁에 올렸지만 못 먹은 음식, 마트에서 팔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나 그냥 버리는 음식 등등 우리가 버리는 음식이 굉장히 많습니다. 음식은 썩는데 오히려 플라스틱이나 비닐보다 나은거 아닌가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하루에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우리나라 기준 2만 t(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정확하게 2017년 기준 1만 9106t에서 2019년 2만 1065t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여러분, 우리나라 기준입니다. 이렇게 버리는 음식물쓰레기 양이 전 세계가 모인다면 어마어마하겠지요. 썩히는 것도 한계가 있지만 썩혀도 문제가 생깁니다. 음식물을 썩힌다면 생기는 문제? 1. 온실가스로.. 2023. 1. 28.
미세먼지는 건강에 얼마나 치명적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글에 이어 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코로 마시면서 내가 얼마나 많은 양을 들이쉬는지 당장은 아무 느낌이 없기 때문에 얼마나 위험한지 잘 못 느낍니다. 그러나 저번시간에도 말했듯이 미세먼지에는 중금속 같이 안 좋은 건 죄다 몰집된 공기이기 때문에 몸의 어디로 얼마나 안 좋게 가는지 순서대로 알아봅시다. 미세먼지는 머리카락보다 작기 때문에 코털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몸속으로 들어갑니다. 기관지에 들어가 쌓이면 가래가 생성되고 기침이 나옵니다. 또 기관지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세균이 침투하여 만성 폐질환이 있는 사람은 폐렴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취약해지지요. 또 미세먼지가 몸 안으로 들어오면 면역 세포가 먼지를 제거하기 .. 2023. 1. 27.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원인 안녕하세요~ 며칠전만 해도 미세먼지가 꽉 차 있어서 환기시키기가 곤란했는데 오늘은 눈이 펑펑 내리면서 미세먼지 없이 깨끗한 날이네요.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하늘마저 뿌옇게 만드는 미세먼지! 이것들을 탈탈 털러 가봅시다. ' 미세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를 말하며 질산염(NO3-), 암모늄 이온(NH4+), 황산염(SO4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 화합물과 금속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처 : 나무위키) 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 50μm 이하인 총 먼지(TSP)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로 구분합니다. 미세먼지의 크기는 일반 미세먼지 PM10, 초미세먼지 PM2.5로 머리카락의 약 1/20 ~ 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이처럼 미.. 2023. 1. 26.